https1 취약한 HTTPS 취약점 진단하기 개요요즘 대부분의 웹 사이트는 전부 HTTP가 아닌 HTTPS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다.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 평문 전송 등의 취약점은 자주 나오지 않는 편인데 HTTPS 통신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이와 관련된 취약점들이 또 존재한다.대표적으로 현재는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SSL 3.0이나 TLS 1.0, 1.1 등의 버전을 사용하는 것, 취약한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 등의 취약점이 존재하고 있는데 아래에서 자세히 진단해보겠다. 취약한 HTTPS 프로토콜 사용SSL 2.0, 3.0, TLS 1.0, 1.1 등의 취약한 버전 암호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해당 항목에 취약점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. 위 버전들은 기본적으로 현재는 사용해서는 안되는 취약한 버전의 프로토콜이며, 해당 프로토콜을 서버에서 지원.. 2024. 7. 17. 이전 1 다음